분 류 |
해면동물 |
자포동물 |
연체동물 |
절지동물 |
피낭동물 |
어류 |
극피동물 |
해조류 |
기타(미확인) |
|
|
|
|
0 |
|
|
|
| |
학명(생물이름) |
멍개(우렁쉥이) |
영문명(English) |
Sea squirt /Sea pineapple | ||||||
사진작가명 |
포보기 |
사진촬영일자 |
2009 년 6월 28 일 | ||||||
촬영장소(포인트명) |
속초시 동명항 맨하탄포인트/그린레포츠 |
|
멍게는 한 개체가 정소와 난소를 모두 가지고 있는 자웅동체이고, 하나의 개체가 자손을 낳는 무성생식과 정자와 알을 수정하여 자손을 낳는 유성생식, 두 방법을 사용하여 번식한다. 무성생식의 경우 어미의 몸에서 새로운 개체가 솟아나오는 출아법으로 번식 하는데, 이 경우 새로운 개체는 어미의 몸에서 떨어져 나가지 않고 남아 있다. 그래서 여러 개체가 이어져 있는 군체를 형성한다. 유성생식의 경우 평소 물을 내뿜는데 쓰는 출수공을 통해 알과 정자를 내뿜어 수정한다. 알의 크기는 약 지름 0.3mm이며 2주에 걸쳐서 하루에 12,000여 개를 낳는다. 알을 낳는 시기는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수온이 10℃정도 되는 10월 중순부터 낳는다. 수정 후 이틀이 지나면 올챙이 모양의 작은 유생이 깨어나 물 속을 떠다니다가 3일째가 되면 머리 부분으로 다른 물체에 달라 붙어 변태하여 성체가 된다.
1년 후에 약 10mm가 되고, 2년째에 10cm 정도로 자라며, 알을 낳기 시작한다. 3년째에는 약 18cm가 된다. 수명은 5∼6년이다. 다른 물체에 붙어 입수공으로 빨아들이는 물에 있는 플랑크톤을 먹고 생활한다. 우리나라의 경우 전 연안에 서식하나 특히 동해와 남해안에 많다. 서식 장소는 수온 5-24℃, 수심 6-20m이다.
우리나라 해안지방에서는 예전부터 식용으로 사용하여 왔으나 전국적으로 이용하게 된 것은 6.25 이후이다. 흔히 날로 초고추장에 찍어서 먹는다. 멍게의 특유한 맛은 불포화알코올인 신티올(cynthiol) 때문이며, 글리코겐의 함량(약 11.6%)이 다른 동물에 비해 많은 편이다. 수온이 높은 여름철에 맛이 가장 좋은데 이것은 여름철에 는 다른 철에 비해 글리코겐의 함량이 많기 때문이다. 프랑스, 홍콩, 일본 등지에서도 식용으로 사용한다.
우리나라 자연산 멍게의 생산량은 1977년에 연간 약 5,000t이었으나 무분별한 채취로 1987년에는 1,335t으로 줄어 들었다. 현재는 양식을 통해서도 생산하고 있다.
출처 : 충청다이빙
글쓴이 : 포보기(박해철) 원글보기
메모 :
'⚓ 포보기의 바다 이야기 > 포보기's 어류도감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스크랩] 가리비 [scallop] (0) | 2010.10.20 |
---|---|
[스크랩] 해삼 (海蔘, sea cucumber ) (0) | 2010.10.20 |
[스크랩] 전복 [ear shell] (0) | 2010.10.20 |
[스크랩] 맥박연산호?(Pulsing Soft Coral) (0) | 2010.10.20 |
[스크랩] 섬유세닐말미잘(Plumos Anemones) (0) | 2010.10.20 |